저는 전기공학과를 나왔고, 현재 직장도 전기전공쪽으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전기공학에서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가 바로 자격증이지 않나 생각되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자격증의 종류 및 현황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번글의 포스팅은 나무위키의 글에서 출처했습니다.
1. 자격증의 단계 및 등급
자격증에는 이렇게 기능사부터 기술사까지 종류로 나눠져 있습니다.
기능사는 가장 단계가 낮은 자격증이며, 기술사는 가장 높은 단계의 자격증입니다.
다음단계의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관련 학과나 경력을 쌓아야하는데,
여기서도 조건이 나눠져 있습니다.
크게 기술사/기능장 취득방법이 나눠집니다.
기술사의 경우, 기사등급 자격증 취득 후 실무경력 4년, 산업기사 취득 후 5년, 대졸 후 6년 등으로 나눠져 있고,
기능장의 경우에는 산업기사를 취득하거나 그 이상 등급 자격증을 취득 후 실무경력 5년이 있어야 취득이 가능합니다.
정리하면
* 기능사 : 자격제한 x
* 산업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대졸 / 전문대졸(관련학과) / 전문대졸(비관련학과)+ 실무1년 / 실무2년 등
* 기사 :
산업기사 + 실무1년 / 기능사 + 실무3년 / 대졸(관련학과) / 대졸(비관련학과) + 실무2년 /
전문대졸(관련학과) + 실무2년 / 전문대졸(비관련학과)+ 실무3년 / 실무4년 등
* 기능장 :
산업기사(기능사) + 기능대 기능장 과정이수
산업기사 등급이상 + 실무경력 5년 / 기능사 + 실무7년 / 실무9년 등
* 기술사 :
기사 + 실무4년 / 산업기사 + 실무5년 / 기능사 + 실무7년 / 대졸(관련학과) + 실무 6년 / 실무9년 등
19년 기준 상위 30개의 기사 접수 현황입니다.
기사자격증이 필요한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관리자 선임과 같이 법적으로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을 상주시켜야 하는데 이에 관한 자격증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전기기사
(2) 산업안전기사
(3) 일반기계기사
(+) 소방설비기사 (전기,기계)
2. 기사의 종류
기사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02. 경영ㆍ회계ㆍ사무
- 024. 생산관리 - 포장기사, 품질경영기사
- 08. 문화ㆍ예술ㆍ디자인 ㆍ방송
- 082. 디자인 -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시각디자인기사, 제품디자인기사, 컬러리스트기사
- 14. 건설
- 15. 광업자원
- 151. 채광 - 광산보안기사◇, 화약류관리기사
- 152. 광해방지 - 광해방지기사◇
- 16. 기계
- 17. 재료
- 171. 금속ㆍ재료 - 금속재료기사
- 174. 용접 - 용접기사
- 18. 화학
- 19. 섬유ㆍ의복
- 191. 섬유 - 섬유기사, 의류기사
- 20. 전기ㆍ전자
- 201. 전기 -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철도기사, 철도신호기사
- 202. 전자 - 광학기사, 반도체설계기사[6], 의공기사, 전자계산기기사, 전자기사, 임베디드기사,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 로봇기구개발기사, 로봇하드웨어개발기사
- 21. 정보통신
- 22. 식품가공
- 221. 식품 - 수산제조기사, 식품기사, 식육가공기사
- 23. 인쇄ㆍ목재ㆍ가구ㆍ공예
- 231. 인쇄ㆍ사진 - 인쇄기사
- 24. 농림어업
- 241. 농업 - 시설원예기사, 유기농업기사, 종자기사, 화훼장식기사
- 242. 축산 - 축산기사
- 243. 임업 - 산림기사, 식물보호기사, 임산가공기사, 임업종묘기사
- 244. 어업 - 수산양식기사, 어업생산관리기사
- 25. 안전관리
- 251. 안전관리 - 가스기사, 건설안전기사, 산업안전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인간공학기사, 화재감식평가기사, 농작업안전보건기사, 방재기사
- 252. 비파괴검사 - 누설비파괴검사기사,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자기비파괴검사기사,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 침투비파괴검사기사
- 26. 환경ㆍ에너지
- 261. 환경 - 대기환경기사, 생물분류기사(동물), 생물분류기사(식물), 소음진동기사, 수질환경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토양환경기사, 폐기물처리기사, 온실가스관리기사, 환경위해관리기사
- 262. 에너지ㆍ기상 - 기상기사, 기상감정기사, 원자력기사☆, 에너지관리기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3. 경력관리
기사자격증은 위의 1번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무에 투입되게 되면 그에 대해서 경력이 인정이 됩니다.
이는 초급, 중급, 특급으로 나누어지는데 전기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초급기술자 :
- 산업기사 또는 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 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2년이상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한 사람
(2) 중급기술자 :
- 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2년 이상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한 사람
-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5년 이상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한 사람
- 기능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8년 이상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한 사람
(3) 고급기술자 :
- 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5년 이상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한 사람
-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8년 이상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한 사람
- 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11년 이상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한 사람
(4) 특급기술자 : 기술자 또는 기능장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 이번글은 간단하게 국가 자격증에 대해 어떠한 것들이 있고, 윗 등급 단계의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 어떤 조건을 갖춰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법이 계속 바뀜에 따라 자격증을 요구하는 곳이 더욱 많이지고 있습니다.
저도 또한 정말 노력해서 자격증을 취득하였는데, 아직 소방관련 자격증 2개, 정보통신관련 자격증1개, 산업안전 자격증1개, 기술사..(고민중입니다..)를 취득해야하나 매번 머릿속으로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글로적고나니 뭔가 머릿속 고민거기를 덜어낸다는 느낌이 드네요.
힘들겠지만 이후에 자격증을 하나씩 취득하게 된다면 후기들을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 기타 기사 자격증 이외의 자격증 목록들
namu.wiki/w/%EC%9E%90%EA%B2%A9%EC%A6%9D
(namu.wiki/w/%EA%B8%B0%EC%82%AC(%EC%9E%90%EA%B2%A9%EC%A6%9D) 출처
'공부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설비기사전기 합격후기 (22년 4회차) 및 주저리 (7) | 2024.12.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