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자기기/NAS
반응형
14

하드디스크의 종류 (NAS 구입시 확인해야할 HDD의 종류) (Desktop, Surveillance, Enterprise, Nas)

하드디스크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데스크탑, 서버(개인 저장용)로 사용되는 NAS, 서버(다수 및 기업에서 사용)에서 사용될 것이다.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굳이 종류를 따지지 않고 구매를 해도 크게 상관이 없다.나 또한 NAS를 사용하면서 NAS의 백업용으로 웹 드라이브를 사용하고 있으니. 하지만 CPU와 램을 사용하는데에 있어서도 서로 캐시 확인 및 동작하는 클럭수를 맞춰 최대의 효율성을 낼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NAS의 하드디스크를 재구매하게 되면서 알게 된 종류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1. 데스크탑 (Desktop HDD) 일반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하드디스크이다.여기 단계의 하드디스크는 '하루 12시간 사용'을 기준으로 제작된다.보통은 게임이나 ..

전자기기/NAS 2025.02.21

레이드라이브 WebDAV 오류, 사이버덕 설치 (raiDrive.Service.x64 error, Cyberduck install), Everything

이 글이 언제 올라갈지는 모르겠다. 작년 즈음부터 레이드라이브를 사용하면 과부하가 발생되어 아예 컴퓨터를 할 수 없을 정도의 지경까지 이르게 되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결국 다시 껐다가 키는 방법 밖에는 없지만 이것도 시간문제이다.  시놀로지 홈페이지에서도 WebDev를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하라는 유틸 중 하나가 레이드라이브이다.하지만 이렇게 약 2년간 과부화가 지속적으로 되어 일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니 갈아타야 하는 순간이 왔다고 생각된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등 할 수 있는 방법은 동원해보았지만 해결되지 않았다.)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메모리를 10기가나 잡아먹는다. 이미지로 보이는 것 처럼 디스크도 가끔씩 100퍼센트를 찍으면서 내부적으로 하는 기본적인 작업들 자체가 버벅거린다.  단순히..

전자기기/NAS 2025.01.03

시놀로지 볼륨 바꾸기 (Synology 720+) (Change Volume) - 2

https://zaezin.tistory.com/635해당 포스팅 참조 이제는 기존 볼륨1에 있는 데이터를 모두 옮기는 작업을 해보겠다.생각보다 간단하다. 이렇게 구글포토, 앱들이 전부 볼륨1에 있으며,모든 데이터 들이 볼륨1에 있다. 이걸 전부 볼륨2로 바꿔주기만 하면 된다.마찬가지로 꽤나 시간이 걸리니 전날 자기전 실행시키고 다음날 확인하자. 단 여기서 유의해야할 사항이 있는데,※ 설치된 모든 앱들을 제거 한다.-> 일부 앱들은 아예 DSM에 설치되는 것들도 있는데, 삭제가 되지 않는 것은 이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추후 볼륨2로 옮겼을때 깨지거나 충돌이 일어나 정상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으니 이 점 유의하기 바란다. 이렇게 모든 데이터를 따로 잘라붙여넣기나 이런걸 할 필요없이 간..

전자기기/NAS 2025.01.02

시놀로지 볼륨 바꾸기 (Synology 720+) (Change Volume) - 1

이전 nas용 하드디스크를 구매한 적이 있다. 노트북용 하드디스크를 구매하고도 2년간 잘 사용했지만 아무래도 나스에는 나스용 하드디스크를 쓰는게 맞다고 생각되어 이번에 새로 구매하게 되었다. 이후 새로 구입한 하드디스크를 메인 디스크로 사용하고, 기존 노트북용 하드디스크는 가성머신 돌리는 용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어떻게 설정을 해야하고, 데이터들 옮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하드디스크 추가DSM에 접속한 뒤 저장소 관리자에 들어간다.이미지와 같이 저장소 - 스토리지풀 - 생성을 클릭한다.그대로 Basic을 선택한다.나의 경우 720+ 2베이 이므로 레이드를 선택할 필요가없다.최소 4베이 이상이 될 경우에 레이드를 설정하여 데이터가 손실나더라도 분산할 수 있는데,내가 쓰는 패턴을 봤을때는 그렇..

전자기기/NAS 2025.01.01

NAS - Synology Virtaul Machine (가상화)

나스에 가상화를 올려 해당 윈도우 OS에 문서작업을 구상하고 있습니다.제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아이패드는 프로5 12.9 256G모델을 사용하는 중입니다.M1 칩셋이 탑재되어 성능은 정말 좋지만, 호환성이 매우 낮아 (윈도우 OS를 쓰는 사람들에겐)나스에서 가상화를 올린 후 해당 시스템으로 원격 접속하여 사용하는걸 계획 중 입니다. 이제 시놀로지에서 가상화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설명드리도록하겠습니다.   1. 포트포워딩을 해줍니다.KT, LGU+, SKT에 맞는 공유기 관리자 설정으로 접속해줍니다.(혹은 통신사에서 지급되는 공유기가 아닌 사설 공유기 (아이피타임 등)을 사용하고 계시다면 해당 프로그램에서 직접 접속하는 방법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시놀로지의 버추얼에서 사용되는 포트는 30300..

전자기기/NAS 2024.12.31

NAS - Synology 백업설정 (Hyper Backup)

두번째로 설정해야할 하이퍼 백업입니다.NAS가 있지만 아무래도 물리적인 하드디스크이기 때문에 USB와 마찬가지로 언제든지 고장날 우려가 있습니다.여건이 되지 않는다면 RAID설정을 통해 1대1로 백업시키는 것과 같은 것들을 할 수도 있고,저의 경우에는 친구와 같이 구글드라이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에다가 백업을 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패키지 센터에서 하이퍼 백업을 설치 2. 어디에로 나스의 데이터를 백업할 것인지 선택하는 것입니다. 해당하는 곳에 선택을 해줍니다. 구글 드라이브를 사용하신다면 이후 구글에 로그인 후 인증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3. 경로를 설정해줍니다.저의 경우에는 따로 하이퍼 백업전용 폴더를 만들었습니다. 4. NAS의 어떤 파일을 백업할 것인지 선택해줍니다..

전자기기/NAS 2024.12.30

NAS - Synology 기본 규칙설정 (방화벽)

시놀로지가 최근 DSM 7.0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인터페이스가 보기 편해지고 일부분이 수정되었는데, 아직까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최적화는 진행중인지 사용하고 있던 DS Cloud Station과 Sync가 말썽을 일으켰네요.이왕 이렇게된거 처음부터 다시 정리하고자 초기 설치 후 설정사항들에 대해 적어볼려고합니다. 처음으로 방화벽 설정입니다. https://cafe.naver.com/synologynas - 네이버 시놀로지 카페 포럼https://www.youtube.com/watch?v=EuMZj4oOTDk - 시놀로지 랜섬웨어 대비하기 이번 포스팅은 위의 글을 참고로하여 작성해보겠습니다. 1. DSM에 접속 후 보안탭에 들어갑니다. 2.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체크박스에 체크 후 '규칙 편집'에 ..

전자기기/NAS 2024.12.29

시놀로지 클라우드 스테이션 동기화 (Synology Cloud Station, Synology Drive) (시놀로지 드라이브 동기화 ) 2

zaezin.tistory.com/535시놀로지 클라우드 스테이션 동기화 (Synology Cloud Station, Synology Drive) (시놀로지 드라이브 동기화 )20/11/21 수정사항입니다. 시놀로지 드라이브 접속방법에서 기존의 방법으로는 되지 않는 사항을 발견해서 새로 수정하였습니다. 아래의 설치 후 포트 접속하는 부분을 보시면 감사하겠습니다. zaezin.tistory.com 이전에 클라우드 스테이션을 이용해서 NAS - 데스크탑 - 스마트폰 등과 같이기기들의 폴더 동기화를 구상하고, 이를 시놀로지 드라이브라는 유틸을 이용해서 구축한다고 이전 포스팅에 설명드렸습니다.하지만 제가 실제로 설치해서 사용해보니 시놀로지 드라이브자체적으로는 NAS - 스마트폰과는 연동이 되지 않았습니다. 스마..

전자기기/NAS 2020.11.26

시놀로지 클라우드 스테이션 동기화 (Synology Cloud Station, Synology Drive) (시놀로지 드라이브 동기화 )1 - 11/21 수정

20/11/21 수정사항입니다. 시놀로지 드라이브 접속방법에서 기존의 방법으로는 되지 않는 사항을 발견해서 새로 수정하였습니다. 아래의 설치 후 포트 접속하는 부분을 보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나스를 구입하고나서 약 6개월이 되었습니다. 단순히 데이터 저장용으로만 사용하고, 동기화와 같은 유틸기능들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다가 이제 좀 시간적인 여유가 생겨 본격적으로 개인 서버 클라우드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시놀로지를 사용하고 계시다면 제가 사용하고 있는 방법을 통해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전자기기들을 하나로 묶어서 사용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제가 현재 사용할려고하는 나스 운영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존에는 클라우드 스테이션을 대신해서 레이드라이브를 사용했습니다. (Rai Drive) ..

전자기기/NAS 2020.11.22

Synology 718+ 구매 및 사용후기 (추가 설정분)

기존에 사용하던 Xepnology(헤놀로지)를 처분하고 드디어 Synology를 구매하였습니다. 헤놀로지도 정말 잘 사용해 왔지만, 직접 시놀로지를 사용하면서 사용해보지 못하는 기능들과 안정성, 보안성을 생각해서 이를 보고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구입은 다나와를 통해서 찾아서 구입했고 가격은 약 59만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1. 외관 처음 박스 개봉했을때의 외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처음 개봉하자마자 이렇게 열려져있습니다. 전면부는 전원버튼, 랜포트, 그리고 각종 LED들이 있습니다. 내부에는 보시는 것과 같이 SATA 연결하는 슬롯, 방열판, 쿨러, 메인보드가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슬롯은 3.5인치 2개이며 3.5인치 이 외에도 2.5인치 관계없이 모두 연결 가능합니다 구성품은 랜선x2, 전원 어댑터, ..

전자기기/NAS 2020.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