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윈도우10
반응형
7

간단한 윈도우 팁 (21/07/11 최신화) (단축키, 가상 데스크톱, 웹 브라우저 등)

이번 게시글은 제가 사용하면서 알고있는 간단한 윈도우 팁과, 인터넷 상에서 떠돌고 있는 팁들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1. 창이 바깥으로 나갔을 때해당 캡쳐화면에서는 창을 다시 클릭해서 화면 안으로 빼낼 수 있습니다.하지만 해상도가 다른 모니터를 사용하고 있을 때, 큰 화면 기준의 창(QHD 예를 들어)에서 작은 창(서브모니터 같은 FHD와 같이 보다 작은 해상도를 가진 모니터를 서브로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에서 옮기거나 창을 키게 된다면 화면 바깥이 모니터 바깥으로 나가게 됩니다.이때에는 WIN + 방향키를 선택해주시면되는데,↑ : 화면 전체 / ↓ : 화면 최소화 / →← : 방향키에 맞게 화면의 절반 크기 만큼 창이 최대화모니터를 다른 크기를 사용하신다면 종종 사용하게 되..

블루스크린 KERNEL_MODE_HEAP_CORRUPTION 문제 (BSOD)

회사의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종종 발생되는 현상입니다.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는데, 어떤 특정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원인을 한 번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해당 방법을 고치기 위해 꽤나 많은 방법들을 시도했고, 이에 대해서 하나씩 기록했으므로, 내용이 많은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아래의 방법들을 사용하고나서는 아직까진 블루스크린이 발생되지 않았습니다. 해당 문제에 대해서는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좀 더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재부팅 실시보통 블루스크린이 간헐적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긴합니다.하지만 블루스크린이 나온다는 뜻은 무언가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기에 블루스크린이 나옵니다.기본적으로 제가 지금까지 사용하면서 블루스크린이 나왔던 가장 큰 이유들은 (1) 파워서플라이 전력부족 (혹은 다수의..

노트북 절전모드 후 켜지지 않을때 해결방법(절전모드 문제)

이번글은 회사에서 노트북을 사용하다가 깨어나지 않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켜두고 있으면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절전모드에 들어갑니다. 윈도우10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현상이 종종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번 포스팅은 간단하게 이를 어떻게 설정해야하는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시작메뉴에서 톱니모양의 설정을 선택해줍니다. 2. 제어판에서 '전원 및 절전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전원이라고 검색창에 적기만해도 전원 및 절전 설정 이 나오니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3. 전원 및 절전 텝의 추가 전원설정 선택 4. 전원 단추 작동 설정 선택 5.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 선택 6. 빠른 시작 켜기 설정 비활성화 5번의 버튼을 누르면 종료설정에 있는 버튼들이 누를..

윈도우 10 블루스크린 PAGE FAULT IN NONPAGE AREA 문제 및 해결 (Windows 10 STOP CODE)

이번 글은 윈도우10 블루스크린 중 PAGE FAULT IN NONPAGE AREA에 대한 원인 및 문제 해결방법입니다. 윈도우10에서는 이전 버전과는 다르게 아래의 화면과 같이 블루스크린이 보여집니다. 마찬가지로 블루스크린이 떴다고 해도 오류코드가 뭔지 구글에 검색해서 보시면 소프트웨어의 문제에서는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원인 원인은 지정된 주소에 접근할 때 유효하지 않는 주소를 참조하거나 실제 주소가 메모리안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백신 충돌이나 바이러스, 메모리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이와 동일한 블루스크린 코드는 0x00000050 입니다. (-https://answers.microsoft.com/ko-kr/windows/forum/windows_8/%EB%B8%94%EB%A3%A..

윈도우 10 UEFI 및 레거시 모드 고려 윈도우 설치 (2)

저번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윈도우 설치과정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일반적으로 윈도우 설치과정은 대부분 UI가 직관적이어서 그대로 설치하면 되지만제가 설치 했을때 여기서 또 문제가 생겨 그 문제와 해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UEFI로 부팅이 되면 로딩 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다른 설정들을 건드릴 필요없이 다음을 누릅니다. 지금 설치를 누릅니다. 문제가 있는 해당 SSD를 포멧 후 다시 설치할려고 했는데 위와같은 경고문이 뜨면서 설치가 되지않는 현상이 생겼습니다. 여기서 어떻게 해야될지 몰라 정말 난감했었는데 친구의 도움으로 해결 방법을 찾았습니다. 위의 화면에서 Shift + F10을 눌러 명령 프롬프트 창이 열리도록 합니다.DISK PART - DISK PART라는 파티션 속성을 설..

윈도우 10 UEFI 및 레거시 모드 고려 윈도우 설치 (19/09/18 수정)

잘 쓰던 노트북이 갑자기 SSD가 인식이 안되는지 BOOTMGR MISSING이 뜨더군요따로 이미지 캡쳐는 해놓지는 않았지만 노트북 메인보드 바이오스 설정에 들어가면 SSD가 잡히는데도 불구하고 결국 부팅에 실패해 재 설치를 하게 되었습니다. 근데 여기서 윈도우 설치를 할때 하드디스크에 이미지 파일들을 복사 시켜놓고하드디스크를 통해서 설치를 하였는데 윈도우10 부터는 이러한 설치과정이 문제를 일으킬 '수도'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OS를 재설치 하면서 설치과정에 대해 설명드리도록하겠습니다. 윈도우 10 부터는 필히 UEFI로 설치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1.부팅 USB만들기 (2018/07/14 기준으로 3.0.1304 버전입니다)https://rufus.akeo.ie/저는 RUFUS라는 프..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 설정 (윈도우10 피드백 비활성화)

요 근래 들어서 노트북이 계속 버벅거리고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해 왜 그런지 작업관리자를 한번 확인해보니 위와 같이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 라는 프로그램이 아무런 작업을 하고 있지않은데도 20% 정도를 사용하고 있더군요.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는 윈도우10에서 사용되는 피드백이며 윈도우10의 사용정보를 MS로 보내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Cpu점유율도 많이 차지하며 굳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활성화 하는것이 좀 더 원활한 pc사용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비활성화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작 - 톱니바퀴(설정)모양을 클릭해줍니다. 위의 빈칸에 '피드백'이라고 검색해주면위와 같은 피드백 개인 정보 설정 칸이 뜹니다. 이 후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