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as
반응형
4

하드디스크의 종류 (NAS 구입시 확인해야할 HDD의 종류) (Desktop, Surveillance, Enterprise, Nas)

하드디스크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데스크탑, 서버(개인 저장용)로 사용되는 NAS, 서버(다수 및 기업에서 사용)에서 사용될 것이다.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굳이 종류를 따지지 않고 구매를 해도 크게 상관이 없다.나 또한 NAS를 사용하면서 NAS의 백업용으로 웹 드라이브를 사용하고 있으니. 하지만 CPU와 램을 사용하는데에 있어서도 서로 캐시 확인 및 동작하는 클럭수를 맞춰 최대의 효율성을 낼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NAS의 하드디스크를 재구매하게 되면서 알게 된 종류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1. 데스크탑 (Desktop HDD) 일반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하드디스크이다.여기 단계의 하드디스크는 '하루 12시간 사용'을 기준으로 제작된다.보통은 게임이나 ..

전자기기/NAS 2025.02.21

레이드라이브 WebDAV 오류, 사이버덕 설치 (raiDrive.Service.x64 error, Cyberduck install), Everything

이 글이 언제 올라갈지는 모르겠다. 작년 즈음부터 레이드라이브를 사용하면 과부하가 발생되어 아예 컴퓨터를 할 수 없을 정도의 지경까지 이르게 되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결국 다시 껐다가 키는 방법 밖에는 없지만 이것도 시간문제이다.  시놀로지 홈페이지에서도 WebDev를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하라는 유틸 중 하나가 레이드라이브이다.하지만 이렇게 약 2년간 과부화가 지속적으로 되어 일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니 갈아타야 하는 순간이 왔다고 생각된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등 할 수 있는 방법은 동원해보았지만 해결되지 않았다.)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메모리를 10기가나 잡아먹는다. 이미지로 보이는 것 처럼 디스크도 가끔씩 100퍼센트를 찍으면서 내부적으로 하는 기본적인 작업들 자체가 버벅거린다.  단순히..

전자기기/NAS 2025.01.03

시놀로지 클라우드 스테이션 동기화 (Synology Cloud Station, Synology Drive) (시놀로지 드라이브 동기화 )1 - 11/21 수정

20/11/21 수정사항입니다. 시놀로지 드라이브 접속방법에서 기존의 방법으로는 되지 않는 사항을 발견해서 새로 수정하였습니다. 아래의 설치 후 포트 접속하는 부분을 보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나스를 구입하고나서 약 6개월이 되었습니다. 단순히 데이터 저장용으로만 사용하고, 동기화와 같은 유틸기능들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다가 이제 좀 시간적인 여유가 생겨 본격적으로 개인 서버 클라우드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시놀로지를 사용하고 계시다면 제가 사용하고 있는 방법을 통해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전자기기들을 하나로 묶어서 사용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제가 현재 사용할려고하는 나스 운영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존에는 클라우드 스테이션을 대신해서 레이드라이브를 사용했습니다. (Rai Drive) ..

전자기기/NAS 2020.11.22

XEPnology 설치과정 (참고 링크들)

이전에 약 1년간 친구의 도움으로 개인 NAS를 헤놀로지로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잘 쓰고 있다가 5월즈음에 클라우드 싱크가 동작하지 않으면서 아예 먹통이 되어 버려 고쳐야지 하다가 아예 자취방으로 들고와 재설치를 했습니다. 이번에 재설치를 하면서 기기에 바로 설치하는 것이 아닌 윈도우의 버추얼박스 (virtual box)를 사용하여 가상의 환경에 설치하였습니다. 설치했던 이유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네이티브로 설치 했을시 부팅 usb를 만들어야되는 번거로움 2. 디스크가 1나 밖에 존재하지 않아 재설치했을시 다시 포멧해야되는 번거로움 3. 뭔가 썼을 때 불안함(?) 저는 일일이 설치방법 보다는 제가 설치하면서 참고 했던 링크들 입니다. 추가로 설치하면서 주의해야되는 부분들은 캡쳐된 이미지 보고 참고해..

전자기기/NAS 2019.08.2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