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자기기/Software
반응형
71

PDF 수정 및 원본 PDF에서의 글자 추출

정말 오랜만에 윈도우 카테고리에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학교 과제에서 보고서를 쓰며 PDF에서 글자 추출에 관련된 유틸을 찾던 중 정말 유용한 유틸인 '알 PDF'를 찾아 사용 방법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 포스팅을 계획하였습니다. 우선 알PDF는 프리웨어입니다. 네이버 자료실에서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software.naver.com/software/summary.nhn?softwareId=GWS_001846 위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게되면 위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설치방법에서는 다른 선택없이 직관적이므로 충분히 혼자서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설치를 하게 되었을 때 나타나는 처음 기본 화면입니다. 이는 이전에 포스팅했던 smallpdf..

PDF 에서 JPG변환하기(Smallpdf)

이번 포스팅은 PDF 파일에서 JPG로 어떤 프로그램도 필요없이 웹 접속만으로도 할 수있는 방법입니다. https://smallpdf.com/kr 해당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해당 홈페이지에서 따로 회원가입을 해야된다거나 전혀 그런 절차 없습니다. UI도 직관적이어서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PDF JPG 변환을 선택합니다.이 외에도 다른 기능들이 많으니 해당 기능을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해당 기능을 누른 후, 파일 선택을 눌러 JPG로 바꿀 PDF파일을 선택해줍니다. 파일을 선택하게 되고나서 업로드 중이라는 문구가 뜨게 됩니다. 밑의 두 가지 옵션이 있는데, 만약PDF파일중에서 이미지 하나만 선택할려면 왼쪽 ' 개별 이미지 추출'을PDF에 있는 모든 이미지 파일..

이미지(그림)를 포스터 형식으로 크게 하기

저번 취업캠프에서 PT면접이 있었습니다. 저는 따로 준비를 해야겠다고 생각들어포스터를 만들어 볼까 생각했었는데, 2절지에 다가 해야되므로 이를 어떻게 해야되나생각해보다가 따로 유틸이 필요없이 설정만 해주면 큰 틀에도 맞게 사진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을알게 되었습니다. 1.그림판 - 페이지 설정 으로 들어갑니다. 2. 2절지(A4 4개의 크기) 기준으로 밑과 같은 설정을 해줍니다즉, A4용지를 어떻게 할 것 인가에 따라 밑의 설정을 수정해주시면 됩니다. 3. 인쇄미리보기로 확인합니다. 4.이미지가 제대로 나눠졌는지 확인하고, 맞지 않다면 2번으로 돌아가 다시 설정을 해줍니다.

윈도우 10 UEFI 및 레거시 모드 고려 윈도우 설치 (2)

저번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윈도우 설치과정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일반적으로 윈도우 설치과정은 대부분 UI가 직관적이어서 그대로 설치하면 되지만제가 설치 했을때 여기서 또 문제가 생겨 그 문제와 해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UEFI로 부팅이 되면 로딩 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다른 설정들을 건드릴 필요없이 다음을 누릅니다. 지금 설치를 누릅니다. 문제가 있는 해당 SSD를 포멧 후 다시 설치할려고 했는데 위와같은 경고문이 뜨면서 설치가 되지않는 현상이 생겼습니다. 여기서 어떻게 해야될지 몰라 정말 난감했었는데 친구의 도움으로 해결 방법을 찾았습니다. 위의 화면에서 Shift + F10을 눌러 명령 프롬프트 창이 열리도록 합니다.DISK PART - DISK PART라는 파티션 속성을 설..

윈도우 10 UEFI 및 레거시 모드 고려 윈도우 설치 (19/09/18 수정)

잘 쓰던 노트북이 갑자기 SSD가 인식이 안되는지 BOOTMGR MISSING이 뜨더군요따로 이미지 캡쳐는 해놓지는 않았지만 노트북 메인보드 바이오스 설정에 들어가면 SSD가 잡히는데도 불구하고 결국 부팅에 실패해 재 설치를 하게 되었습니다. 근데 여기서 윈도우 설치를 할때 하드디스크에 이미지 파일들을 복사 시켜놓고하드디스크를 통해서 설치를 하였는데 윈도우10 부터는 이러한 설치과정이 문제를 일으킬 '수도'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OS를 재설치 하면서 설치과정에 대해 설명드리도록하겠습니다. 윈도우 10 부터는 필히 UEFI로 설치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1.부팅 USB만들기 (2018/07/14 기준으로 3.0.1304 버전입니다)https://rufus.akeo.ie/저는 RUFUS라는 프..

MS office 2010 딜레이(렉) 응답없음 현상, 컴활 1급 실기 (3)

전 포스팅에서도 해결방법을 올렸는데 그래도 안되는 경우가 발생했길래 어떻게 해야되나찾아보다가 찾게 되었습니다.사진에서도 보시는 것과 같이 간단하게 폼 전환을 할때 속성창(F4)를 반드시 끄고폼 전환을 하니 딜레이 현상이 없어지더군요이번에 정말 이거 때문에 애를 많이 먹었는데 이 방법이 다른 설정 건드릴 필요도 없고제일 편하게 해결하는 방법인것 같습니다. 관련 문제 포스팅 http://zaezin.tistory.com/55 - (1)http://zaezin.tistory.com/57 - (2)

오피스 2010 제대로 실행이 되지않을때 (재설치시 문제)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에 실제 오피스가 상위버전이 설치 되있는 상태에서 하위 버전을 설치하게 될 시 대체적으로는 충돌이 일어나지 않지만 가끔씩 충돌하는 경우가 생겨 재설치가 필요할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로컬디스크에 폴더가 만들어진 상태에서 다시 설치하게되면 기존에 있던 설정들이 그대로 있기때문에 재설치를 하여도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이 포스팅에서는 재설치상에서 새로 설치하는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위 메뉴에서 '사용자지정'을 선택 해줍니다. 첫번째 항목을 선택해줍니다. 선택을 하기게 되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네모안 화살표를 누르게 되면 3가지의 항목이 나옵니다. 여기서 3번째 항목인 '처음 사용할 때 설치' 를 선택해줍니다. 일반적인 설치 진행 과정입..

피스파이스(Pspice) (OrCAD) 설치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으로 전기회로도를 직접 시뮬레이션 시키는 소프트웨어입니다. https://www.orcad.com 여러 버전들이 있는데 굳이 유료버전까지는 쓰지않고 기본적인 기능들만 사용해도 왠만한 기능들은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홈페이지로 접속 후 위와 같이 RESOURCES - OrCAD Downloads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옆의 'OrCAD Lite를 클릭해 스크롤 내리게 되면 *표시와 함께 각 항목들을 채우는 콤보상자들이 나옵니다. 그런데 굳이 정확하게 기입하실필요는 없습니다. 각 항목들을 채워 주시고 하단에 'SUBMIT'을 누릅니다. 항목들을 빠짐없이 채우셨다면 위와 같이 성공적으로 메일을 보냈다고 알림글이 뜹니다. 메일함에 들어가면 OrCAD에서 보낸 메일이 온 것을 확인 할..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 설정 (윈도우10 피드백 비활성화)

요 근래 들어서 노트북이 계속 버벅거리고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해 왜 그런지 작업관리자를 한번 확인해보니 위와 같이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 라는 프로그램이 아무런 작업을 하고 있지않은데도 20% 정도를 사용하고 있더군요.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는 윈도우10에서 사용되는 피드백이며 윈도우10의 사용정보를 MS로 보내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Cpu점유율도 많이 차지하며 굳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활성화 하는것이 좀 더 원활한 pc사용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비활성화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작 - 톱니바퀴(설정)모양을 클릭해줍니다. 위의 빈칸에 '피드백'이라고 검색해주면위와 같은 피드백 개인 정보 설정 칸이 뜹니다. 이 후 ..

MS office 2010 딜레이(렉) 응답없음 현상, 컴활 1급 실기 (2)

요 근래 실기를 하면서 결국 딜레이 현상이 또 발생하게 되어 포멧을 하게 됬습니다. 그런데도 포멧 후 오늘 액세스를 하면서도 딜레이 현상이 발견되어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보기 위해 고민하던 중 최근 업데이트 이후 딜레이 현상이 발생되었다고 생각되어 설치된 업데이트 내역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최근 업데이트를 기준으로 하나씩 지워보니 KB4103727 이 업데이트를 지우니 딜레이 현상이 없어졌습니다. 아마 예전에도 이 업데이트 때문에 딜레이 현상이 생겼었지 않나 생각됩니다. 앞으로도 또 다른문제가 생길경우 해결책을 다시 업로드 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문제에 대한 포스팅 http://zaezin.tistory.com/55 - (1)http://zaezin.tistory.com/81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