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자기기/Software
반응형
71

허브 및 공유기로 다수 컴퓨터 연결시 인터넷 끊김 현상 해결방법 (IP 충돌시 해결방법)

이번 연구실에서 컴퓨터 위치 이동을 하면서 랜선을 재배열해야되는 작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여기서 기존의 방식에서 아예 갈아엎고 모든 컴퓨터를 RDP환경에 맞추기 위해 재설치하였는데 여기서 일부 컴퓨터가 인터넷이 되지 않는 현상이 생겼습니다. 며칠동안 여러방법으로 시도해보다가 해결하여 해당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법들에 대해 한 번 정리해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학교는 공인IP를 받아오며, 각 강의실이나 연구실마다 대역폭이 따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주의하시면서 설치하셔야합니다. 1. 초기 랜선 구성도 초기 연구실 내에 랜선 배치도와 컴퓨터 및 프린터 환경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기존환경 -허브가 추가로 연결되있는 부분은 랜선 길이가 짧아 연장하는 개념으로 설치 -프린터는 외부 공인 IP를 통해서 접..

Windows에서 원격 데스크톱 설정하기 RDP(Remote Desktop Protocol) (2) - 원격 데스크톱 연결

두 번째 글입니다. 이번 글은 원격을 당하는게 아니라 원격을 거는 곳에서 원격 데스크톱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윈격을 거는 곳은 제가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에서 사용했으며, 운영체제는 Windows 10 입니다. 원격 데스크톱을 실행시킵니다. 원격 당하는 컴퓨터의 ip주소를 입력해줍니다. 여기서 ip주소를 알아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후 설정했던 계정을 선택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해줍니다. 위험 창이 뜨는데 예를 눌러줍니다. 여기서 이 컴퓨터로의 연결을 다시 묻지 않음을 선택해 주시면 차 후에 연결할 때 다시 묻지 않습니다. 연결하면 위와 같이 OS 처음 접속할 때의 화면이 나옵니다. 이 후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내부망으로 연결된 컴퓨터끼리 원격으로 접속하는 방법이..

Windows에서 원격 데스크톱 설정하기 RDP(Remote Desktop Protocol) (1) - 원격 데스크톱 연결

이번 글은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를 한 번 원격으로 사용해보기 위해 설정한 내용들입니다. 원격은 windows 7 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대부분 설정하는 방법이 비슷합니다. 여기서는 7에서 설정해야되는 사항들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설정 전 숙지사항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은 RDP(Remote Desktop Protocol)이라고 하며 윈도우 자체에서 지원하는 기능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원격프로그램인 Teamviewer이 있습니다. 하지만 요 근래에 들어서 개인용으로는 사용이 가능한데, 기업에서는 사용이 제한이 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그래서 여러 프로그램들도 써봤는데, 번거롭긴 하지만 윈도우 자체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제일 괜찮다고 판단되어 이번에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노트북 지문 인식 오류 (생체 인식 장치 인식 불가) (Windows Hello 인식 불가) (Windows 10 finger print not working)

이번에 구입한 그램에는 로그인 할 때 지문인식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래서 한 번 써볼려고 했더니 드라이버 자체가 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문제있는 드라이버가 있다~ 라고 나오기만 해도 직접 인터넷에서 드라이버를 찾아서 연결 해줄텐데 이와 같이 아예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 였습니다. 물론 지문인식을 쓰지 않아도 사용하는데는 전혀 지장이 없지만, 있으면 나름대로 편리한 기능인데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 한 번 도전해보았습니다. 진짜 3일정도 이리저리 찾아보고 직접 서비스센터에도 갔다왔는데, 지문패드는 이상이 나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즉, 위와 같이 해당 문제점의 원인은 가장 큰 원인은 "빌드"입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RS5 1809(17763.3..

인터넷 타이머 vclock.kr

이번 글은 인터넷 상 타이머인 vclock.kr 후기입니다. www.vclock.kr 온라인 알람 시계 - 자명종 온라인 - 온라인 자명종 - vClock.kr 온라인 자명종. 시간과 분을 맞추세요. 설정한 시간에 맞춰 알람 메시지가 표시되고, 미리 정한 알람 소리가 울립니다. vclock.kr 항상 어떤 일이나 해야되는것을 할때 시간을 맞춰놓고하면 그 시간내에 해결해야된다는 생각에 늘어지지 않고 타이트하게 작업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요 근래에 책을 읽거나 블로그 글, 자소서 등을 할 때 타이머를 맞춰두고 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타이머도 제가 원하는 기능들은 없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질적으로는 시간과 맞지않아 1분에 약 2초 정도 오차가 발생하는 것과 같이 불안정한 타이머들이 많았습니다. 애초에 ..

캐드 설치방법 (Auto CAD)

캐드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소프트웨어를 구입해야하지만, 학생으로 등록해놓으면 3년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블로그들에 나와있지만 제가 19년 7월 3일 기준으로 확인할 때 약간 달라진 점이 있어 현재 시점에서 설치방법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www.autodesk.co.kr에 접속해서 이미지와 같이 회원가입을 합니다 www.autodesk.co.kr 오토데스크 | 3D 설계, 엔지니어링 및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오토데스크는 보다 좋은 세상을 상상하고, 디자인하고, 만들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합니다. www.autodesk.co.kr 2. 계정 작성을 클릭해줍니다 + 아마 페이지 전체가 번역으로 되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간중간 약간 맞지 않은 어휘들이 있는데 ..

노트북 트랙패드 터치 오류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설정

최근에 노트북을 포멧하고, 저 같은 경우에 은행업무나 액티브 파일들을 사용하고 나면 그때 그때 바로 지우는 스타일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도 은행업무를 끝난 후 지우면서 필요없는 파일들을 지웠는데 터치패드 관련된 파일을 지워 터치패드가 터치가 먹히질 않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여기서 터치가 먹히지 않는다는 것은 원래 터치패드를 소리가 나도록 꾹 누르지 않아도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가 되었는데, 어떤 프로그램 (여기서는 Synaptics 관련 파일이라고 추측)을 지우고 나니 화면 터치가 되지않는 증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때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도서관이나 독서실 등에서 사용할 때 문제가 되기 때문에 여기에 대한 해결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 바로 소프트웨어 설치방법 및 설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

Pspice 기본 사용방법

이번 포스팅은 Pspice의 기본 사용방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간단하게 직류회로를 기준으로 회로상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방법입니다. ※해당 포스팅은 Pspice가 설치 된 상태를 기준으로 사용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피스파이스는 프리웨어이므로 https://zaezin.tistory.com/63 에서 설치방법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1. Pspice의 OrCAD를 실행시켜 File-New-Project를 차례대로 선택합니다. 2.누르고 난 뒤에 프로젝트를 새로 하나 만들어 줍니다. 첫 번째 항목을 선택해주시고, 파일이 어디에 생성될지 위치 선택, 프로젝트 이름(자유)로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하셔야 될 점이 있습니다. * 하단 부분에 Location에서 경로상 한글이 들어가..

예외 unknown software exception ~ 오류 문제 (nosstart.npe)

기존에 쓰고있는 데스크탑에서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컴퓨터를 끌 때, 프로그램을 많이 돌려 과부하가 걸리게 되었을때 나타는 증상으로 보입니다. 이게 (0x40000015) 이지만 이외에도 여러 코드들이 있어 해결방법을 찾기어려웠습니다. 하지만 검색해서 찾아보니 의외로 정말 간단한곳에 원인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경고창 상단에 어떤 프로그램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여러 방면으로 Ccleaner를 이용하여 레지스트리 및 정크파일을 정리하던가 백신을 돌려봐도 따로 검출되는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즉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창 제목에 있는 프로그램을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 제거를 통해 제거 해주시면 해결됩니다. 여기..

SSD 최적화 총 정리 (19/12/16 수정)

이번 포스팅은 SSD 최적화에 대한 방법들입니다. 기존에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것과는 다르게 초기 윈도우 설치시 설정해줘야 제 성능을 쓰며 항상 쾌적하게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저는 일부설정들만 해주었는데 최근들어 부팅속도도 그렇고 점점 속도가 느려져 분명히 SSD는 캐시가 쌓이는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데 왜그런가에 대해 보니 이후 설정들을 하지 않아 발생된 문제였습니다. 1. AHCI설정 처음 바이오스에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12년도 노트북에도 그렇고 최신노트북에선 아예 AHCI로 설정되있습니다. 혹여 설정되지 않으면 초기 부팅시 F2 or F10, Del등 메인보드 제조사 마다 바이오스 진입 단축키가 다른데 이를 확인해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LG, 삼성 노트북의 경우 F2가 바이오스 진입 단축..